최근에 오징어게임이 정말 세계적으로 핫하다는 것을 국내뿐 아니라 해외 언론에서도 어마어마합니다.
넷플릭스는 투자금 대비 엄청난 수익율을 거두었다고 뉴스에 화두가 되고 있으니까요?
우리는 그럼 "오징어게임"에서 최후의 승자가 되었을 경우 "얼마의 세금을 내야 할까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세법적으로 오징어게임에서는 세금 한 푼 없이 그대로 계좌에 입금이 되었지만
이게 사실이라고 해도 현실에서 그 돈을 사용할 때는 엄청난 저항에 부딪치게 되어있습니다.
이유는 자금출처조사, 세금을 납부하지 않고 불법적으로 발생한 소득은 항상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있습니다.
그럼 이렇게 상금에 대한 소득이 생겨났다면 어떤 세법에 적용을 받을까요?
1) 기타소득
2) 증여세
3) 종합소득세
위 3가지를 기준으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기타소득 (기타 당첨금)
당신이 만약 "오징어게임"에서 최후까지 생존해서 우승을 한 우승자라면 "기타소득"을 납부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기타소득세는 우리가 아는 "이자, 배당, 사업, 근로, 연금, 퇴직, 양도소득" 이외의 소득이 발생했을 때
부과됩니다.
465억의 우승자 상금 중 세금은 기타소득세 30% + 지방소득세(기타소득세의 10%)를 납부해야 합니다.
우승상금 : 45,600,000,000 |
세금 33% : 15,048,000,000 |
실수령액 : 30,552,000,000 |
실수령액은 약 305억원입니다.
2) 증여세 (타인증여)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기금에 의한 지급이 아니기 때문에 우승상금은 현실적으로 "타인증여"에 의한 소득으로 볼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이 됩니다.
이런 경우 증여세율의 적용을 받습니다. 간단하게 증여세율과 세금에 대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30억원을 초과하면 증여세율은 50%가 됩니다.
456억원 중 50% - 누진공제액 4.6억원을 빼면 실수령하는 우승상금은
납부해야 하는 세금은 약 232억원입니다. 세금 빼고 실 수령하는 금액은 228억원입니다.
세금이 참 어마어마합니다.
3) 종합소득세율을 적용하면?
만약에 일반적인 근로소득으로 456억을 한 번에 받았다고 가정을 하면 어떨까요?
대한민국은 누진세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누진세는 소득이 많아지면 세금이 늘어나는 구조를 뜻합니다.
당연히 최고세율구간을 적용받습니다. 우리나라 최고세율구간은 5억원을 초과하면 42%를 적용받습니다.
우승상금이니 별도의 비용도 없을테니 상금 전체를 수익으로 가정하고 계산을 하면
(456억 X 42% - 누진공제 3540만원) = 191억 여기에 지방소득세 10%를 더하면 납부세금은 약210억원입니다.
세금공제하고 실수령하는 금액은 약 245억원입니다.
이게 끝이 아닙니다.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이 추가되면 실수령액은 더 줄어들게 됩니다.
세금을 빼도 수령하는 금액은 어마어마한 금액이고 그냥 통장에 이런 금액이 한번만 찍혔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그렇습니다. 그런데 현실은 세금을 납부하지 않고
영화에서처럼 456억을 통으로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도 오징어게임을 정말 재미있게 보았는데 목숨을 걸로 게임을 해더 우승을 하는 것보다는 오늘 하루를 더 열심히 살아서 하루하루 행복하게 오늘을 사는 것이 더 좋겠다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댓글 영역